본문내용 바로가기


연구본부

4차 산업혁명시대와 포스트 코로나와 같은 새로운 생활 변화를 이끄는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입니다. 주변의 상황을 센싱하고 계산 및 판단하며 자연의 신호를 디지털로 정보화하고 가공된 정보를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은 자율주행 자동차, 스마트기기, 폴더블 디스플레이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연구를 주도하는 반도체·디스플레이 본부는 인공지능을 포함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및 ICT 전 분야를 망라하는 범용, 특화 SoC 플랫폼 기술, AR/VR 및 유연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, Beyond 5G를 대응하는 무선 및 차세대 메모리용 고속 인터페이스 기술, 사물에 인지/판단기능 및 논리제어 기능을 부여하는 스마트센서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첨단 반도체·디스플레이 기술 확보를 통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는 국내 팹리스, 파운드리 및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적극 지원해 나가겠습니다.

반도체·디스플레이연구본부 본부장 황태호

연락처

연락처 게시물
직책 성명 TEL FAX
반도체·디스플레이연구본부 본부장 황태호 031-789-7313 031-789-7339
SoC플랫폼연구센터 센터장 김병수 031-789-7318 031-789-7339
융합신호SoC연구센터 센터장 이성호 031-789-7316 031-789-7369
디스플레이연구센터 센터장 한철종 031-789-7415 031-789-7439
스마트센서연구센터 센터장 차철웅 031-789-7270 031-789-7279

연구센터소개

SoC플랫폼연구센터

  • 지능형 SoC 아키텍쳐 기술
  • 인공지능 SW-SoC
  • 고속 인터페이스용 PHY IP기술
  • 메모리 중심의 컴퓨팅 (Processor In Memory) 기술
  • 자동차용 고장진단·센서 SoC 기술
  • 광전-SoC 기술
  • (운영조직) 반도체 및 시제품 검증지원·인증 센터

융합신호SoC연구센터

  • RF/아날로그/혼성모드 신호처리 설계 기술
  • 무선통신용 RF 송수신기 기술
  • 유무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회로 기술
  • 지능형 레이다 센서 및 신호처리 SoC 기술
  • 차세대 데이타/메모리 직렬 인터페이스 기술
  • 고효율 PMIC (Power Management IC) 기술
  • 인공지능 아날로그 컴퓨팅 기술

디스플레이연구센터

  • 유무기 자발광 디스플레이
    ( OLED, QD EL, 무기 EL, micro & nano LED)
  • 반사형 디스플레이 (전자종이)
  • 구동 회로 및 소자 : Oxide TFTactive matrix, Passive matrix
  • 자유형상 디스플레이
    (Flexible, Stretchable,Rollable)
  •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소자
    (Laser holographic LCoS)
  • 나노광결정, 양자점, 나노임프린트 광학 소재 및 필름
  • 2D 디지털 센서 어레이 및 영상 진단 소자
  • 방열, 차폐, 발열 등 대면적 기능성 소재 및 소자
  • 스마트 윈도우를 위한 투명 태양 전지, 센서 및 모듈

스마트센서연구센터

  • 나노/MEMS기반 스마트센서
    (온습도, 압력, 가속도, 자기, 유량, 적외선, 초음파, 음향, THz 등)
  • 차세대 입력디바이스 및 내츄럴 UI/UX
    (터치, 촉각, 가상감각, 웨어러블 등)
  • 집적광학센서
    (소산파 기반 센서, 레이저응용 센서 등)
  • 환경/바이오센서
    (가스, 랩온어칩, 도파로 기반 센서 등)
  • 전원 자립형 IoT 및 웨어러블 센서 기술
    (에너지하베스팅 및 무선전력전달)
  • 스마트센서 응용 시스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