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 글로벌 시장조사회사인 이밸류에이트파마에 따르면, 2013년 전세계 바이오 의약품시장 규모는 1,650억 달러로
전체 의약품시장의 22%를 차지했지만, 매년 평균 8.4%씩 성장해 2020년 2,910억 달러 규모가 되고,
전체 의약품시장의 27%에 해당하는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함
○ 전 세계 항암제 시장은 2013년 728억 달러 규모이나, 향후 연평균 11.2%씩 고속 성장해 2020년 1,531억 달러에
이를 것이라고 예측되며, 전체 의약품을 치료 영역별로 볼 때 14.4%가 항암제가 차지함
○ 세포 추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살아있는 부착성 세포를 관측하고 세포의 물리적 변화를 측정하여 데이터를
얻을 수 있는 세포 분석 기기임
○ 본 기술에 따른 세포추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4가지 영역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함
- 세포 관찰 장치 : 세포의 주화성에 따른 이동(또는 활동)능력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를 표시함
- 세포 배양 관찰 장치 : 배양되는 세포의 이미지를 인큐베이터를 개방하지 않고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함
- 세포 배양용 인큐베이터 : 다양한 배양 조건을 위하여 온도와 CO2 흐름 제어가 가능함
- 주화성 측정 장치 : 세포의 주화성 등 측정이 가능한 구조물
○ 실시간 세포의 추적 및 디스플레이
- 실시간 단일 세포(특히, 부착성 세포)의 추적 및 디스플레이 가능
○ 일반 광학계 현미경으로 구조를 이용한 세포의 이미지 분석 가능
- 고가의 위상차 현미경 대신 고해상도의 CCD카메라 혹은 일반 현미경 이용 가능
- 광원과 렌즈 및 CCD카메라를 관찰 최적화된 위치로 셋업
- 세포 추적 장치의 단가를 낮춤
○ 임의의 시간간격으로 장시간 배양 및 연속 촬영
- 인큐베이터를 개봉하지 않고도 세포 배양과정의 실시간 관찰 및 이미지 관측 가능
- 24~72시간 이상 세포의 장시간 배양 가능
- 임의 시간간격의 연속 촬영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 장시간 동안의 측정 및 데이터 저장 가능
○ 배양과 현미경 관찰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
- 세포 분석 가능한 소프트웨어(세포 관찰 장치)와 세포관찰 가능한 장치(세포 배양 관찰 장치, 주화성 측정 장치) 및 세포 배양용
인큐베이터가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구동 가능
○ 세포의 이동관련 연구 분야 : 예) 암세포 전이 연구 등
○ 세포의 특정 약물 반응성 연구 분야 : 예) 신약개발 등
○ 환경변화에 따른 세포의 물리적 특성 실시간 관찰 적용 분야
구분 | 발명의 명칭 | 출원번호 (출원일) | 등록번호 (등록일) |
---|---|---|---|
특허 | 배양환경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세포배양용 인큐베이터 | 2006-0104300 (2006.10.26) | 10-0815074 (2008.03.13) |
특허 | 세포 배양 관찰 장치 | 2006-0106142 (2006.10.31) | 10-0813915 (2008.03.10) |
특허 | 세포 관찰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| 2006-0119587 (2006.11.30) | 10-0837349 (2008.06.04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