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내용 바로가기


사업화 대상기술

  • pdf다운
  • 인쇄하기

기술명 : 반복 사용 가능한 디지털 뇨당계 기술

기술문의
  • Key-word(국문)헬스 케어 | 헬스 모니터링 | 뇨당 모니터링 | 혈액 분석기
  • Key-word(영문)

기술의 개요

  • 배경

    ○ 배뇨 중 당을 정량화하는 기술은 전 세계적으로 일본 이외에는 개발 사례가 없으며, 산발적으로 뇨 중 당을 측정하는 기술이

        개발되어 왔으나 다층 막 구조 형태로 이루어지지 않아 반복 사용하는 경우가 없으며 측정 에러가 다수 발생함

    ○ 종래 뇨 스트립을 이용한 비색 방법의 경우 시료의 운반, 전처리, 반응 시간, 발색의 부정확함을 보임

    ○ 병원 glucose meter GA05의 경우 다량의 샘플을 처리하기 용이하게 제작된 병원용 의료기기가 개발됨

    ○ 본 기술인 다층 막 구조 기반 디지털 뇨당계는 임상 실험 및 신뢰성 테스트를 통하여 주요 기능들이 검증되었음

       - 반복성, 재현성, 차페성에 대한 검증 테스트 및 사용자 편의성을 고려한 의료기기 디자인

       - 의료기기 품목 허가

  • 개요


    ○ 당뇨 환자나 신장 이상, 기타 대사 기능에 이상이 의심되는 환자들 중 배뇨 중에 포함되는 당의 농도를 정량화 할 수 있는 

        기기로서 채혈 없이 손쉽게 소변 중의 당 농도를 디지털로 표기함

    ○ 대량 양산 가능한 저가의 카트리지를 사용하고, 센서 표면층의 다층 막 구조를 형성하고 있어 배뇨 중 불순물의 효과적인 

        차폐를 통하여 200회 이상의 반복 사용이 가능함

    ○ 개발된 전극 구조를 가지는 PCB와 이를 이용한 디지털 뇨당계 시제품 제작이 완료됨

기술의 구현수준(TRL)

5단계

기술의 장점(경쟁기술과의 차별성)

 ○ 중앙랩에서 사용하는 장비의 경우 일회용 카트리지를 장착하여 추가 비용 발생하고, 뇨 당을 위한 특화된 장비가 아니므로 

     불필요한 추가 검사를 시행해야 하는 문제가 있음


 ○ 본 기술은 채혈 없이 일상생활 중에서 모니터링이 가능함으로써 당뇨 환자의 당 수치의 관리 및 초기 당뇨 환자의 조기 발견이 가능함


 ○ 개인 맞춤형으로 자가 건강관리를 위한 뇨당 수치를 장기간에 걸쳐 연속적으로 모니터링이 가능함


 ○ 다층 막 구조를 사용함으로써 뇨산, acetaminophen, ascorbic acid 등 배뇨 중 불순물을 효과적으로 차폐하며 하나의 카트리지로 반복 사용가능함

활용범위 및 응용분야

○ 헬스 케어 장비 및 헬스 모니터링 장비


○ 연속 뇨당 모니터링 및 혈액 분석기

지식재산권 현황

지식재산권 현황 리스트
구분 발명의 명칭 출원번호 (출원일) 등록번호 (등록일)
특허 당 검출을 위한 바이오 센서소자 제조방법, 이를 이용한 바이오 센서 소자 및 당 검출방법 2011-0127297 (2011.11.30) 10-1328485 (2013.11.06)
특허 불순물 차단 구조의 당 검출용 전극체 및 이를 적용한 당 검출 센서 2012-0099773 (2012.09.10) 10-1467299 (2014.11.25)
특허 디지털뇨당계 휴대용 SUA 500 시제품 2013-0064970 (2013.12.23) 30-0758198 (2014.08.19)
거치용 시제품 거치대 30-2013-0064971 (2013.12.23.)
목록